롯의 처를 기억하라
본문: 누가복음 17:32
“롯의 처를 기억하라.”
사랑하는 교우 여러분, 예수님께서는 짧고도 강력한 경고의 말씀을 주셨습니다. "롯의 처를 기억하라"는 말씀입니다. 성경에서 롯의 처는 갑작스럽게 등장하고, 단 한 사건으로 그녀의 생애가 끝납니다. 창세기 19장에서 하나님의 심판이 소돔과 고모라에 임할 때, 롯의 처는 천사들의 경고를 무시하고 뒤를 돌아보다가 소금 기둥이 되고 맙니다.
예수님께서는 이 사건을 통해 마지막 때에 우리가 세상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면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수 없음을 경고하십니다. 오늘 우리는 롯의 처가 어떤 삶을 살았고, 왜 그런 행동을 했으며, 그녀의 선택이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주는지 깊이 탐구해 보려 합니다.
1. 롯의 처는 누구인가?
롯의 처에 대한 성경의 언급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성경은 그녀의 이름이나 출신, 결혼 시점 등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습니다. 그녀가 언제 롯과 결혼했는지 명확하지 않지만, 몇 가지 단서를 통해 그녀의 삶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1) 소돔에서의 삶
롯의 처는 롯과 함께 소돔에 살았으며, 두 딸의 어머니였습니다. 소돔에 대한 성경적 묘사를 보면, 그곳은 물질적 번영이 있었지만 영적으로는 극도로 타락한 도시였습니다(창세기 13:13). 롯의 처는 소돔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그곳의 문화와 가치관에 익숙해졌을 가능성이 큽니다.
2) 롯의 처의 미련
롯의 처가 소금 기둥이 된 이유는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뒤를 돌아봤기 때문입니다. 이 행동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소돔에 대한 미련과 집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녀는 그곳에서의 삶을 떠나기 어려워했고, 물질적 풍요와 사회적 지위에 대한 욕망이 그녀를 사로잡고 있었던 것입니다.
3) 딸들의 태도와 가정의 영향
롯의 딸들도 소돔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소돔을 탈출한 후, 그들은 아버지와 동침하여 자손을 이어가겠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창세기 19:31-36). 이는 당시 그들이 소돔에서 보고 배운 왜곡된 가치관이 가정에 깊이 뿌리내려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롯의 처 역시 이러한 환경 속에서 세상의 가치에 깊이 젖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왜 롯의 처는 뒤를 돌아봤는가?
롯의 처가 뒤를 돌아본 행동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었습니다. 이 행동의 배경에는 그녀의 내면 깊은 곳에 자리 잡은 세상에 대한 미련과 욕망이 있었습니다. 천사들은 분명히 "뒤를 돌아보지 말라"고 명령했지만, 그녀는 그 명령을 어기고 말았습니다.
1) 세속적 삶에 대한 집착
롯의 처는 소돔에서 오랫동안 살면서 그곳의 물질적 번영과 쾌락에 익숙해졌을 것입니다. 그녀는 소돔의 심판을 피하라는 하나님의 경고를 들었지만, 마음 깊은 곳에서는 여전히 그곳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했습니다.
2) 가족과 재산에 대한 염려
소돔에 남아 있는 가족(사위들)과 재산도 그녀가 뒤를 돌아보게 한 이유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당시 여성들은 가정과 소유에 강한 책임감을 느꼈기 때문에, 그녀는 남겨진 것을 걱정하며 떠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3) 영적 둔감함
롯의 처는 하나님의 경고에 대한 두려움과 순종보다, 현재의 삶에 대한 애착이 더 컸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믿지 않고 세속적 가치에 얽매여 사는 모습을 반영합니다.
3. 롯의 처가 주는 교훈
롯의 처는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의 역사에서 중요한 경고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녀의 사건을 인용하시며, 마지막 때에 우리가 가져야 할 신앙적 태도를 강조하셨습니다.
1) 세상에 대한 집착을 버리라
롯의 처가 소금 기둥이 된 이유는 세상에 대한 집착 때문이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물질적 성공과 쾌락을 추구하는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잊고 살아갈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너희 보물 있는 곳에 너희 마음도 있다”(마태복음 6:21)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의 마음이 하나님의 나라에 있어야 할 것입니다.
2) 하나님의 명령에 즉각적으로 순종하라
천사들은 롯의 가족에게 "지체하지 말고 도망하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러나 롯의 처는 하나님의 말씀에 온전히 순종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오늘날 우리의 삶에도 적용됩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들었을 때 우리는 즉각적으로 순종해야 합니다. 지체하거나 미루는 것은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영적 갈등을 극복하라
롯의 처는 세상과 하나님의 말씀 사이에서 갈등하다가 결국 잘못된 선택을 했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신앙과 세상의 유혹 사이에서 갈등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두 주인을 섬길 수 없다"(마태복음 6:24)고 경고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결단하고 나아가야 합니다.
4. 결론: 롯의 처를 기억하라
예수님의 말씀처럼, 우리는 롯의 처를 기억해야 합니다. 그녀의 삶과 죽음은 우리에게 신앙의 경고와 도전을 줍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세상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하나님의 나라를 바라보며 살라고 명령하십니다. 세상의 가치와 쾌락은 일시적이며, 하나님의 말씀만이 영원한 생명을 보장합니다.
오늘 이 시간, 여러분의 마음이 어디에 있는지 돌아보시기 바랍니다. 혹시 세상에 대한 집착이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이제는 마음을 돌이켜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며, 영원한 생명을 소망하는 믿음의 삶을 살아가시길 바랍니다.
아멘.
'성경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의 생애와 교훈 (0) | 2025.02.05 |
---|---|
요나의 표적: 예수님을 통한 구원의 메시지 (0) | 2025.02.05 |
히브리서 7:1-3, 예수님의 예표인 멜기세덱 (0) | 2025.02.05 |
신약에서 언급된 구약의 인물들 (0) | 2025.02.05 |
처음은 좋았지만 말년에 타락하거나 믿음을 버린 사람들 (0) | 2025.02.05 |
댓글